- 한국산 수입량 2015년 이후 상승세 -
- 콘택트렌즈 수요와 시장규모 커질 전망 -
□ 상품명 및 선정 사유
ㅇ 상품명: 콘택트렌즈(HS Code 900130)
ㅇ 선정 사유
- 전문가들은 꾸준한 렌즈 수요가 있다고 분석하며 시장 성장을 전망하고 있음. 또한 독일 소비자의 콘택트렌즈 사용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점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.
- 국내기업의 하이테크 기술과 정교한 마감처리 및 높은 품질기준 등으로 독일 시장 및 유럽 시장 내 경쟁력이 있을 것
□ 시장규모 및 동향
ㅇ 시장규모
- 2017년 세계 콘택트렌즈시장에서 미국은 매출액 약 46억5000만 달러로 압도적 1위임.
- 2017년 독일은 6위로 매출액 약 3억6000달러로 나타남.
2017년 국가별 콘택트렌즈시장 매출액
(단위: 백만 달러)
자료원: 독일 연방 통계청(Statista 2017)
-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독일 콘택트렌즈 매출액은 4억 유로 내외로 꾸준히 비슷한 매출액을 보임.
- 2015년도에 매출액 4억3000만 유로로 최고치를 달성 후 2016년에 약간 감소해 4억2000만 유로로 나타남.
독일 콘택트렌즈시장 매출동향
(단위: 백만 유로)
자료원: ZVA
ㅇ 시장동향
- 2017년 독일의 총 안경사 용자(불규칙적으로 착용하는 사용자 포함)는 4300만 명으로 집계됐음.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300만 명으로 아직까지는 안경 사용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.
독일 내 14세 이상 안경 및 콘택트렌즈 사용자 수
(단위: 백만 명)
지속적 안경 사용자
비지속적 안경 사용자
콘택트렌즈 사용자
자료원: IfD Allensbach
- 2017년도 독일 내 14세 이상 설문 참여자 중, 안경 또는 렌즈 등 시력교정도구가 필요한 비중은 56.8%였음. 이 중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4.1%로 나타남.
- 렌즈를 착용하는 설문참여자 4.1% 중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소프트렌즈 착용자는 2.4%임. 이외에 단기간 사용이 가능한 소프트렌즈(1일·1주일·1개월용) 착용자는 1.1%, 하드렌즈 착용자는 0.6%로 집계됨.
- 독일에서는 맞춤 안경의 가격이 비싸고 착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점차 콘택트렌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임.
독일 내 14세 이상 설문 참여자 중 각 시력교정도구 사용률
자료원: VuMA
□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
ㅇ 수입규모
- HS Code 900130 기준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총수입은 약 3억 달러로 전 세계에서 5위임.
- 최근 3년간 독일의 HS code 900130의 수입은 평균 3.6%로 증가함.
- 2015년 대비 2016년 수입량은 10.87%의 증가율을 보임.
최근 3년간 독일 콘택트렌즈 수입현황(HS Code 900130 기준)
(단위: 천 달러, %)
구분 |
2014년 |
2015년 |
2016년 |
|||
수입규모 |
증감률 |
수입규모 |
증감률 |
수입규모 |
증감률 |
|
수입규모 및 성장률 |
317,524 |
1.33 |
297,077 |
-6.44 |
329,376 |
10.87 |
자료원: GTA
ㅇ 상위 10개국의 수입동향
- HS Code 900130 기준 독일의 상위 수입 5개국은 영국, 이탈리아, 미국, 프랑스, 스웨덴임.
- 2016년 HS Code 900130 기준 Global Trade Atlas의 통계에 의하면 독일의 전체 수입액은 약 4억7000달러로 영국산이 전체 수입액의 23%로 1위, 그 뒤로 이탈리아가 19.2%, 미국산이 18.6%를 차지함.
독일의 주요 수입국 추이(HS code 900130 기준)
(단위: 천 달러, %)
순위 |
국가명 |
수입액 |
점유율 |
증감률 ('16/'15) |
||||
2014 |
2015 |
2016 |
2014 |
2015 |
2016 |
|||
- |
총계 |
491,052 |
442,827 |
472,115 |
100.00 |
100.00 |
100.00 |
6.61 |
1 |
영국 |
118,726 |
131,028 |
108,590 |
24.18 |
29.59 |
23 |
-17.12 |
2 |
이탈리아 |
98,245 |
88,173 |
90,815 |
20 |
19.91 |
19.24 |
3 |
3 |
미국 |
82,829 |
61,986 |
87,606 |
16.87 |
14 |
18.56 |
41.33 |
4 |
프랑스 |
56,752 |
48,257 |
51,010 |
11.56 |
10.9 |
10.80 |
5.70 |
5 |
스웨덴 |
34,773 |
26,681 |
32,635 |
7.08 |
6.03 |
6.91 |
22.32 |
6 |
일본 |
31,344 |
23,432 |
29,344 |
6.38 |
5.29 |
6.22 |
25.23 |
7 |
스페인 |
20,098 |
18,960 |
23,368 |
4.09 |
4.28 |
4.95 |
23.25 |
8 |
벨기에 |
12,016 |
14,475 |
17,571 |
2.45 |
3.27 |
3.72 |
21.39 |
9 |
스위스 |
13,543 |
14,385 |
16,090 |
2.76 |
3.25 |
3.41 |
11.85 |
10 |
오스트리아 |
22,727 |
15,451 |
15,087 |
4.63 |
3.49 |
3.2 |
-2.36 |
21 |
한국 |
2,896 |
1,730 |
5,750 |
0.59 |
0.39 |
1.22 |
232.4 |
자료원: GTA
□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
ㅇ HS Code 900130 기준
- 한국산 수입량은 2014년도에 총 수입액의 0.58%인 290만 달러, 2015년도에 0.39%로 170만 달러에 달하는 비교적 적은 양이었지만 2016년도에 575만 달러로 상승해 전년 대비 232.4%의 증감률을 보임.
- 2016년 독일 콘택트렌즈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1.22%를 보임.
□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
ㅇ 콘택트렌즈 판매동향
- 독일은 안경 전문점뿐만 아니라 약국이나 슈퍼마켓에서도 손쉽게 콘택트렌즈 구매할 수 있음.
- 그러나 'gutefrage'라는 질의답변 사이트에 따르면, 대부분 소비자들은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저렴한 만큼 품질면에서 떨어진다고 인지하고 있음. 의사의 의견을 듣거나 안경점에서 구매하는 것이 자신에게 더 잘 맞는 렌즈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함.
- 독일에서 주로 판매되는 콘택트렌즈 제품은 미국이나 독일 기업의 제품들이며, 주로 1회용이나 1개월용 렌즈가 대부분임.
- 2014년까지만 하더라도 월별 및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렌즈를 더 선호했으나 최근 단기간 사용이 가능한 렌즈로 추세가 변화하고 있음.
- 실제로 몇몇 소비자들은 인터뷰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렌즈보다 일일 렌즈를 선호한다고 했으며 그 이유는 위생 때문이라고 답변함.
- 최신 1개월용 렌즈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성분으로 이루어진 렌즈임. 기존 하이드로겔에 비해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산소 투과도가 약 5배 높다고 검증됨.
- 'Kontaktlinsen Preisvergleich'라는 콘택트렌즈 가격비교사이트에서 가장 수요도가 높은 1개월용 렌즈를 테스트한 결과, 현재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인 AIR OPTIX Hydraglyde, Acuvue Vita, Biofinity 및 ULTRA(Bausch + Lomb)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렌즈로 나타남.
업체명 |
회사 소개 |
렌즈 1개당 가격 |
Johnson & Johnson Vision Care(Acuvue) |
소프트렌즈를 판매하는 미국 기업. Acuvue는 Johnson & Johnson의 자회사로 1개월용 렌즈는 판매하지 않고, 1회용이나 2주용 렌즈만 판매 |
0.78유로(1회용) |
3.67유로(2주용) |
||
Bausch + Lomb |
36개국에 소재한 독일 렌즈 제조회사. 하드렌즈 및 소프트 렌즈(1회용, 1개월용, 컬러렌즈) 판매 |
0.73유로(1회용) |
10.33유로(1개월용) |
||
9.50유로(1개월용 컬러렌즈) |
||
PureVision |
Bausch + Lomb의 자회사로 실리콘하이드로겔 성분인 1개월용 렌즈 판매 |
3.33유로(1개월용) |
Dailies |
제약회사 Alcon에 속한 회사 중 하나로, 1회용 콘택트렌즈인 'Dailies AquaComfort Plus'가 대표 제품임. |
0.5유로(1회용) |
CooperVision |
미국 콘택트렌즈 제조회사. 1회용, 1개월용 콘택트렌즈 판매 |
0.53유로(1회용) |
3.83유로(1개월용) |
||
Wöhlk |
독일 콘택트렌즈 제조회사. Wöhlk에 속한 렌즈상품 중 'Zeiss'라는 상품은 1회용, 1개월용, 컬러렌즈를 판매함. 'EGO Contactlinsen'라는 상품은 노안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조된 상품. 'Contact'라는 상품은 1개월용 렌즈임. |
5유로(1개월용) |
자료원: www.blickcheck.de
자료원: 독일 연방통계청, ZVA(독일 안경사협회), IfD Allensbach(알렌스바흐 여론조사협회), VuMA(독일 소비및미디어분석협회), GTA, 질의답변 사이트 'gutefrage', 'Kontaktlinsen Preisvergleich',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료 종합
< 저작권자 ⓒ KOTRA & KOTRA 해외시장뉴스 >
[출처] http://news.kotra.or.kr/user/globalBbs/kotranews/4/globalBbsDataView.do?setIdx=243&dataIdx=164694&pageViewType=&column=&search=&searchAreaCd=&searchNationCd=&searchTradeCd=&searchStartDate=&searchEndDate=&searchCategoryIdxs=&searchIndustryCateIdx=&searchItemCode=&searchItemName=&page=1&row=10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17 |
“남자도 꿀피부 원한다”, 남성화장품 시장 확대일로
![]() | lifecosnet | 2018.03.06 | 3 |
16 | 중국 수산물산업 동향 | lifecosnet | 2018.03.05 | 6 |
15 | 중국 화장품 시장 놓고 한국-프랑스-일본 3파전 | lifecosnet | 2018.03.05 | 6 |
14 |
화장품매장 테스터제품 관리 미흡 '여전'
![]() | lifecosnet | 2018.02.27 | 6 |
13 |
화장품업계, 리뉴얼 출시 봇물
![]() | lifecosnet | 2018.02.27 | 5 |
12 | ‘홈퍼니싱’… 나홀로족 공략나선 생활용품시장 | lifecosnet | 2018.02.26 | 14 |
11 | 웅진식품, 두유 사업 중단…"주스·차 음료 집중" | lifecosnet | 2018.02.26 | 4 |
10 | 가계소득 늘어나는 슬로바키아, 가공식품 시장 진출은? | lifecosnet | 2018.02.26 | 5 |
9 | 코스타리카 뷰티 케어 시장 현황 | lifecosnet | 2018.02.26 | 9 |
8 |
한국산 배, 캐나다 수출 쉬워진다...수출 검역요건 완화
![]() | lifecosnet | 2018.02.26 | 6 |
7 | 2018년 홈셰프 시대에 떠오르는 소형 가전제품 | lifecosnet | 2018.02.07 | 17 |
6 | 중국 온수기 시장동향 | lifecosnet | 2018.02.07 | 12 |
» | 독일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| lifecosnet | 2018.02.07 | 12 |
4 | 기능성티슈 등 생활용품 전문, 무전원 고효율 공기순환형 팬 ‘베네팬’ 개발 | lifecosnet | 2018.02.07 | 7 |
3 | 서울 중구,'생활용품 KC인증' 전안법 개정안 계도 | lifecosnet | 2018.01.24 | 15 |
2 | '다이어트 제품에 마약성분'…몸 상할 해외직구 건강식품 | lifecosnet | 2018.01.23 | 10 |
1 | 식약처, '불량식품근절추진단' 신설…계란, 세척·선별 유통 | lifecosnet | 2018.01.23 | 9 |